만약 복지관을 새로 세운다면?

2009. 7. 1. 22:36푸른복지/복지와 경영

 

후원금 수입 + 법인전입금 + 사업수입

 

다음은 서울시 내 OO 복지관의 1년 세입 자료입니다.

 

 

 

 

위의 자료에서 제가 관심 두는 것은

후원금 수입 + 법인전입금 + 사업수입 입니다.

 

이전 글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복지관 자체 수입] 대비

[운영보조금 및 기타보조금]의 비중이 높아질수록

복지관의 독립성은 점차 훼손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정부는 한국 및 세계 경제가

하반기 이후 내년에는 나아질 것이라는 전제로

각종 경기 부양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내년 이후 나아지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재정 건전성이 악화되면 어떻게 될까요?

 

보조금의 파이가 줄어들게 될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보조금 확보 경쟁 속에서

각 기관은 실적 경쟁에 더 열심일 수 밖에 없습니다.

(또 보조금 주는 곳에 눈치를 더욱 더 보게 될 것입니다. )

 

그렇다면 실적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어떠한 현상이 일어날까요?

 

당사자 삶의 주체성은

도리어 훼손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당사자의 주체성과

실적 등이 충돌하는 경우

실적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 실적 경쟁이 심해질수록

현장 복지사의 업무량과 만족도는

더욱 더 나락으로 떨어져갈 것입니다.  

(* 올해 복지관 평가 있는데... 지금 다들 공감하실 것입니다.)

 

 

 

과연 독립은 불가능한가? 

 

다음은 아까 세입을 보여드린 복지관의 세출 현황입니다.

 

 

 

그렇다면 재미있는 상상을 해 볼까요?

 

만약 앞에서 제가 주목한

세입 중 '보조금을 제외한 수입'으로

복지관을 운영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세출에서 사업비만 제외할 수 있다면

복지관 보조금을 제외한 금액으로

복지관 운영이 가능함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몇 가지 걸림돌이 있습니다.

 

1. 사업비가 최소한으로 들어가는 실천 방법이 있어야 한다.

 

2. 후원금 중 직접비 지출은 50%를 초과하지 못한다.

   사업비 제외한 비용에는

   후원금의 50%를 넘겨서 쓸 수 없다는 법령이 있습니다. 

   따라서 후원금을 온전히 쓰기 어렵다는 걸림돌이 있습니다.

 

3. 사업 수입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업의 방법을 바꾸면

   당연히 사업 수입 또한 변동이 생길 것입니다.

  

 

4. 공간 마련 비용을 새롭게 만들어야 함.

   보통은 지자체로부터 공간을 무상 임대 형태로 받고 있습니다.

   보조금으로부터 자유로워지려면

   공간 또한 자체 공간 임대비용을 새롭게 마련해야 한다는 결론에 나옵니다.

 

 

 

상상으로 풀어보려 합니다. 

 

저도 회계에 대해서 거의 문외한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계속 예속화되고, 방향 없이 일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부족해도 위의 걸림돌을 풀어가는 방법을

찾아보고 싶습니다.

 

최소한 보조금의 비율을 줄여

독립성과 자율성을 확보하고 싶습니다.

 

다음 번에는 위의 걸림돌을

하나씩 어떻게 풀어갈 수 있을지.

상상한 바를 찾아보려 합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 중에서도

아이디어가 있으시면

더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