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민이 나눔의 주체, 사람을 우선에 두기.

2009. 5. 26. 08:46푸른복지/복지와 인문사회

나눔 - 그 마땅함과 선물

나눔이 없는 삶은 무미건조합니다.

또 바른 삶이라 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나눔의 기쁨이야 말로

사람 살이에서 누릴 수 있는

큰 기쁨 중 하나입니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 '나눔'은 사람으로서의 마땅한 바 일뿐 아니라

인생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선물입니다.

 

 

 

어느 덧 소수에게 전가된 나눔

이와 같이 사람의 마땅한 바요,

기쁨을 누리게 하는 선물인 '나눔'이

어느 덧 소수에게 전가된 것은 아닌지 돌아봅니다.

 

사람 살이의 한 요소였던 나눔이

이제는 일반 사람들의 삶에서 분리되고

또 그리 되어 가는 것 같습니다. 

 

이제 사람들은

'나눔'이란 자신과 무관하거나 혹은 별 상관이 없으며,

대신 '나눔'을

전담하는 전문가의 몫이라 보는 것 같습니다.

 

각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나눔에 대한 책무는

어느 덧 그것을 전담하는 복지사에게

많은 부분을 전가한 것 같습니다. 

 

전담하는 사람이 등장했으니

그 사람에게 그 몫을 전가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반응일지 모릅니다.

 

 

 

소수의 어려움

하지만 복지사는 소수입니다.

복지사가 아무리 늘어난다 하더라도

사회적 약자와 대상자에 비하면

항상 소수입니다.

 

문제는

소수가 다수에게 서비스 한다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복지사가 부지런히 활동해도

다수에게 서비스하기란

사실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비율의 차이가 큽니다.

 

이는 사회복지현장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는 다수인 대상자에게 서비스하느라 매일 헉헉 댑니다.

그렇게 일해도 다음 날에는 또 다시 해야 하는 일이 산더미 같이 쌓입니다.

그러니 점점 일에 파묻혀가는 복지사가 많아짐을 봅니다.

소진과 쉼을 외치는 복지 현실을 보면

이러한 현상이 더 깊어지고 있음을 발견합니다.

 

 

 

소수의 방안 - 대량 서비스

이와 같이 소수가 다수에게 서비스하는 것의 한계를 절감하면서

현장에서는 소수를 벗어나고 싶다고 이야기합니다.

벗어날 수 있는 방안을 여러 가지로 모색합니다.  

 

그리고 그 방안 중 하나로

복지가 선택한 것이

바로 대량 서비스입니다.

 

즉 더 많은 사람들에게 서비스 하기 위하여

사업을 표준화하고, 매뉴얼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방식.

대량 서비스 방식을 선호하게 됩니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소수가 다수에게 서비스할 방법이 없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대량 서비스를 수행하다보면

개별화가 쉽게 훼손됩니다.

 

물론 개별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좋은 이야기이지만,

개별화할 경우 이를 다 감당할 수 없다는 한계 때문에

'현실적이어야 한다'는 논리에,

'개별화'는 쉽게 포기되는 것 같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대량서비스가 많아지고,

개별화는 점점 줄어들게 되면서

몇 가지 우려스러운 점이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첫 번째 우려 - 업적과 실적에 묶여버리는 복지

 

소수가 다수에게 서비스 하는 방식으로써의

대량 서비스는 

자칫 일이 우선이 될 수 있습니다.

 

업적주의가 되기 쉽습니다. 

실적주의가 되기 쉽습니다. 

 

실제로 개별의 의견을 다 반영하고 고려하다 보면

매뉴얼과 시스템이 붕괴되기 때문에

개별 상황과 의견은 받아들이기 쉽지 않습니다.

 

게다가 이러한 방식으로 일하다 보면

몇 건을 수행했는가에 집중하게 되고,

결국 어느 순간부터 실적을 채우고, 숫자를 채우는데

목적을 두는 것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업적주의, 실적주의로 흘러가버리면

이후에는 우리 스스로 이를 통제할 수 없게 된다는 점에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는 이제 업적과 실적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스스로 업적과 실적을 중요시하다 보니

기준이 업적과 실적이 되었고,

사회복지사를 평가하는 기준이 업적과 실적이 되어버렸습니다.

 

이제는 사회복지사가 개별화를 추구하고자 해도

업적과 실적이 기준이 된 이상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에 내몰리게 되어버렸습니다.

 

결국 업적주의와 실적주의는

이제 사회복지사가 통제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도리어 이것들에 우리를 얽매어버렸습니다.

 

 

 

두 번째 우려 - 사람들이 나눔에서 해방(?)되어 간다.

앞에서 설명드린대로

나눔이란 사람에게 마땅히 있어야 하는 바며,

기쁨을 주는 선물입니다.

 

하지만 복지가

대량서비스를 통해 대상자의 어려움을 충족시킬 수 있다고

계속 강조하면 할수록 (실현 가능성과 상관없이..)

지역 주민의 나눔에 대한 책무는 점점 우리의 몫이 될 것입니다.

 

대량 서비스는 점점 늘어나되,

지역 주민은 도리어 나눔을 우리에게 전가시키고,

점점 나눔의 부담에서 해방되어 갈 것입니다.

 

결국 지역 주민이 나눔에서 해방될수록

그 부담은 고스란히 소수인 복지인의 부담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이는 다시

복지의 대량 서비스를 요구하게 되고,

또 다시 복지를 업적과 실적에 묶어버리는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돌고 돌수록

사회복지사는 실적과 업적에 목메면서도

자율성은 잃고

도리어 실적과 업적을 따라야만 하는 위치에

묶이게 될지도 모를 일입니다.

 

 

 

두 가지 원칙을 바로 세우자.

이러한 악순환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원칙을 다시, 바로 세워야할 것 입니다.

 

첫째, 지역주민이 나눔의 주체라는 원칙을 세우자.

복지를 행하는 자가 소수라는 한계에서

대량 서비스가 나타났습니다.

 

그렇다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복지, 나눔의 주체를 늘리면 됩니다.

 

즉, 지역 주민이 복지의 주체가 되도록

그 역할을 회복시키면 됩니다.

 

복지를 복지사가 전담하려 하지 않고,

그 역할을 지역주민과 함께 하고자 한다면

소수이기에 발생하는 문제는 자연스럽게 줄어들 것입니다.

 

또 굳이 대량 서비스로 해결하지 않아도

다양한 방식으로 해소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길 것입니다.

 

 

둘째, 사람을 우선에 두어야 합니다.

업적주의, 실적주의는

사람을 우선에 두기 어렵게 만듭니다. 

 

받는 사람도 '숫자'로 표시될 뿐 아니라,

나누는 사람도 '숫자'로 표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숫자가 적으면 소홀히 하기 쉽고,

숫자가 많으면 귀해 여겨지기 쉽습니다.

 

문제는 사회복지가 업적주의, 실적주의를 중시하면

다른 이도 사회복지를 그 기준으로 평가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업적과 실적이 평가 기준이 되면

우리는 그것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그것에 따라 행동할 수 밖에 없는 부자유에 속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먼저 우리 스스로

사람을 우선에 두는 원칙을 세우고 일해야 합니다.

업적, 실적 중요합니다만,

그것이 첫 번째 기준이 아님을 명확히 세워야 합니다.

 

그래야 다른 이들도 우리를 평가할 때

업적, 실적이 아닌, 사람을 우선에 두고 평가하게 될 것입니다.

 

다른 이들이 평가 기준으로

사람을 두게 될 때

비로소 우리 스스로 실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얻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