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기관과 복지사를 지원하는 것이 효율성의 전부인가?

2009. 5. 21. 18:46푸른복지/복지와 인문사회

 

복지의 효율을 높여야 한다.

 

복지 사회로 가기 위해

우리는 복지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러한 흐름에서 

복지기관과 복지사는

각종 교육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더 빠르게 당사자를 찾아갈 수 있도록

경차도 지원해주고 있고,

 

더 많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인력도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건물도 더 효과적으로 설계되고 있으며,

각종 업무지원 설비(OA기기 등)도 지원받고 있습니다.

 

또 복지사에게 각종 교육과 지원 또한

적지 않게 펼쳐지고 있습니다.

 

 

맞습니다. 효율성을 높여야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흐름이

과연 복지의 효율성을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일까요?

 

 

 

어느 영역의 효율을 높일 것인가?

우리가 흔히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할 때

보통 복지기관, 사회복지사의 효율성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복지의 주체가

복지기관, 복지사라는 전제에서 출발합니다.

 

복지의 주체가

복지기관, 복지사이므로

당연히 이들의 효율을 높여야 하겠지요. 

 

하지만 정말 복지의 주체는

복지기관, 복지사가 유일할까요?

 

 

 

복지의 주체 : 지역주민

복지의 주체는 복지기관, 사회복지사가 유일한 것이 아닙니다.

복지의 주체는 오히려 지역주민입니다.

 

복지는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서로 나누는 삶을 살도록

돕고 연결해 드리는 것입니다. 

 

복지기관과 복지사가 누군가를 도울 때

그 돕는 내용을 살펴보면 

복지기관과 복지사가 스스로 생성하여  

어려운 사람을 돕는 것이 아닙니다.

 

현금도, 현물도, 온정도, 말벗도, 지지체계도

모두 지역주민에게서 나온 것이지,

사회복지기관이나 복지사가 스스로 생성한 것이 별로 없습니다.

 

 

이를 곰곰히 살펴보면

복지의 주체는 지역주민이되,

복지기관과 복지사는 지역주민에게서 나온 것을

연결해주는 연결자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복지의 주된 주체는 지역주민입니다. 

대신 복지기관, 사회복지사는

지역주민이 잘 돕고 나눌 수 있도록 지원하고 연결해 드리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복지기관(사) 효율성의 한계

그렇다면 효율성을 높인다고 할 때

어느 영역의 효율성을 높여야 할까요?

 

복지기관과 복지사의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이 분명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지역주민의 나눔살이가 점점 약화되는 가운데

복지기관과 복지사의 업무 효율성만 높아진다면

이는 과연 지속가능할까요?

 

잠깐 생각해도 이는 결코 지속할 수 없음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지역 주민이 나눔살이에 무관심해지고,

나누기 위해 내 놓는 것이 줄어드는 경우에는

복지기관, 복지사의 역할 또한 이에 따라 줄어들 수 밖에 없음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지역주민의 나눔살이를 회복하는 것이 바로 효율성

지역 주민의 나눔살이가 원천이요,

복지기관과 복지사는 이를 연결 또는 대신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고려한다면,

복지 효율성을 높이는 접근은 지금과는 조금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복지 효율성을 높이는 접근이

오직 복지기관과 복지사의 효율성 증진에만

맞춰져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복지기관과 복지사의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하더라도

나눔의 원천이 메말라버리면 그 효율성은 반쪽짜리일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복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복지기관과 복지사의 효율성을 높이는 노력과 함께

'지역 주민이 나눔살이에 더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작업하는 것에도 

공을 들여야 합니다. 

 

특히 복지의 원천이

지역주민의 나눔살이임을 생각한다면

복지기관과 복지사에게 지원하는 것보다

지역 주민의 나눔살이 확산에 더 많은 공을 들여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