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는 새로운 기준을 따라야 한다.

2010. 7. 23. 09:00모음집/복지포지셔닝

복지는 새로운 기준을 따라야 한다.


복지가 자신의 사명을 다하기 위해서는 이제 새롭게 제시되는 기준을 따라야 합니다.

하지만 복지계는 이러한 변화를 얼마나 인지하고 준비해 왔을까요?


안타깝지만 제가 보기에 사회복지는 사회적 변화에 둔감하여 변화가 시작되었는지 조차 잘 인식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지역 주민은 복지관이 있는지도 모르는데 평가 잘 받았다는 것에 만족하는 것을 종종 봅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지역 주민과 괴리된 모습을 보이면 보일수록 지역주민으로부터 공감과 참여를 획득하기는 더욱 어려워질 것입니다.


복지는 새로운 기준을 인식하고 잘 적응하기 위하여 스스로 혁신해야 합니다.

지역주민이 복지의 필요성을 공감할 수 있도록, 공감을 통해 참여할 수 있도록,

복지관 스스로 지역 밀착형, 주민 참여형으로 변화한 모습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어떤 점에서부터 혁신을 도모해야 할까요?
우선 백화점 나열식으로 운영하는 방식을 바꿔야 합니다.

일은 많은데 도대체 무슨 일을 하는지 복지계 스스로 압축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운영방식을 바꾸어야 합니다.


주민이 느끼는 서비스 질보다 서류 평가에 더 민감하게 반응해온 방식을 과감히 바꾸어야 합니다.


주민에게 기관명을 들려줘도 ‘좋은 일하는 곳’ 외 어느 것도 연상되지 않는

파편적인 기관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바꾸어야 합니다.


주민의 입장에서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인 사업

즉 주민의 공감을 획득하기 어려운 사업에 매달려 있는 현재 사업 방식을 과감히 바꾸어야 합니다.

 

복지관 스스로 자신의 정체성을 훼손시키는 무정체성 전략을 그만두고, 핵심 정체성에 따라 조직, 사업, 홍보를 정렬해야 합니다.

문어발식으로 확장하는데 급급하여 정작 핵심정체성과 핵심능력을 잃어가는 복지계의 전략을 수정해야 합니다.


복지계가 시민단체, 종교기관 및 타 전문가단체를 경쟁상대로 인식하는 협소한 사고방식을 바꾸어야 합니다.


지역주민이 생각하는 복지의 역할과 복지계가 중요시 하는 역할 간 인식의 차이(Gap)를 줄여야 합니다.

주민이 공감하는 복지비전은 제시하지 못하면서 복지관끼리 경쟁하는 구도를 과감히 타파해야 합니다.


이러한 변화가 지역주민에게 공감을 얻고 참여를 통해 사명을 인정받는 근거가 될 것입니다.
 


복지는 얼마나 준비해 왔는가? 바로 우리의 책임이다.
제가 바꾸어야 한다고 말씀드린 것들을 보시면 완전히 새로운 주장이 아닙니다.

복지현장에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꿈꾸며 바래왔던 것입니다. 


하지만 복지현장에서는 현실적 어려움 때문에 당장은 실현하기 어려운 것으로 인식해온 것들입니다.

물론 지금까지는 이와 같이 활동하지 않아도 당장 복지계 및 기관의 존재이유 및 사명 달성에 큰 위협요인이 없었습니다.

아직 복지자치의 주도권이 시민에게 온전히 넘어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과도기의 평안입니다.

결국 당장 고쳐내야 하는 필수사항으로 인식하지 않았고, 차일피일 미루어온 과제들입니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면서 어떻게 되었습니까?

지역 주민에게 복지의 주도권이 빠르게 옮겨지고 있습니다.

지역 주민이 어떻게 판단하는가가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어떠합니까?

복지기관에서 한 블록만 떨어진 곳에서 지역 주민을 만나보면, 복지기관이 있는지 조차 모르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복지기관이 무슨 일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복지기관이 왜 필요한지 공감하기는 커녕, 존재감조차 없는 상황입니다.  

 

맹자에 '7년 앓은 병에 3년 묵은 쑥을 구한다.'는 글이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이전부터 인식했던 문제점을 하나씩 만이라도 차근차근 해결해 왔다면

지금 무섭게 휘몰아치는 복지차지 시대를 훨씬 쉽게 적응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당장 급하지 않다는 생각에 차일피일 미루다 보니 어느 덧 복지자치가 성큼 다가왔습니다.

지역 주민의 공감과 참여를 획득하기에는 우리의 모습은 초라합니다.

복지자치는 빠르게 다가오는데 시민에게 다가가기 위해 허용된 시간은 너무 부족합니다.
 

누구의 책임입니까? 바로 우리 자신, 복지인의 책임입니다.

물론 ‘정부 예산이 적었기 때문에......’,

‘현실적 여건이 따라주지 않았기 때문에......’,

‘기관장님 때문에......’,

‘직원 때문에......’,

‘공무원 때문에......’,

‘지방의회 의원 때문에......’

등의 이유로 복지자치를 준비하지 못했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저 또한 복지인으로는 200%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 주민에게 이와 같이 이야기한다면 어떨까요?

공감할까요 아니면 핑계꺼리 혹은 능력 부족으로 보게 될까요?


어쩌면 지역 주민은 우리에게 되물을지도 모릅니다.

자기 혁신의 에너지가 부족한 것은 아니었는지 되물을 것입니다.

어느 분야나 어려움은 있는 것 아니냐고 되물을 것입니다.


만약 시민의 인식 속에 복지인은 능력이 없고 자기 혁신할 힘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그 때는 복지계가 사명을 실현할 기회를 한 번 더 달라고 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어쩌면 복지 사명을 대신할 대안을 찾는 것이 더 빠르고 효과적인 길이라고 지역 주민이 판단해버릴지도 모를 일입니다. 

 

복지는 지금부터라도 주어진 사명을 달성하기 위해 자기 혁신을 이끌어내야 합니다.

자기 혁신하고, 핵심능력을 갖춤으로서 지역 주민으로부터 꼭 필요한 일을 한다는 공감을 획득해야 합니다.

그리고 공감하는 지역 주민의 참여를 통해 복지계에 주어진 사명을 온전히 달성해야 합니다.

 

이것이 복지계가 지역 주민의 보배가 되는 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