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단위로서 사회사업적 생태체계 구상

2013. 3. 19. 08:00모음집/복지와 생태

현재 제가 적고 있는 연재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생각의 흐름에 따라 

사회사업 생태체계를 하나의 단위로 조작하고 있습니다. 


블로그에 올리기에는 너무 길긴 한데.. 

그래도 생각의 흐름을 드러내야 

왜 생태체계를 하나의 단위로 조작하는지 설명이 될 수 있을 듯 싶습니다. 


길게 적다보니 친절하지 못합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1. '생태학' 용어의 통용 범위


생태학을 관계와 상호작용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모든 체계 분류에 적용가능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범위를 보면 

유기체(Organisms)에서 생물권(Biosphere)을 그 범위로 합니다. 


1


#


2. 크기와 기능에 따른 생물학적 체계 분류와 생태학의 분류


생태계 - Ecosystems(Biosphere, Biomes)

  ↑

군집 - Communities

  

개체군 - Populations

  

생물(개체생물) - Organisms



생태학은 4가지 단계의 생물학적 구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어느 수준에서 생물학적 체계를 다루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1) 생태계 생태학

- 생물권 생태학 : 지구에서 생물이 존재하는 부분을 모두 포함한 생태계를 총괄하는 용어(깊이로는 지표면의 극히 얇은 부분까지 포함 22km)


- 생물군계 생태학 : 광범위한 지역에 퍼진 전형적인 생태계 - 예) 해양생물군계, 담수생물군계, 육지생물군계(열대림, 온대림, 한대림, 산지, 극지, 사막, 초원, 사바나, 관목지 9개)


- 생태계 생태학 : 한 특정 지역 내의 모든 종의 군집과 그 생물들과 상호작용하는 물리적인 요인을 총체로 연구 


2) 군집 생태학 

한 특정 지역 내에 서식하는 모든 종들의 개체 집단 연구 (여러 종류의 개체군들 집단) 예) 침팬지와 오랑우탄 군집에 관한 연구


3) 개체군 생태학

지리적으로 같은 지역 내에 서식하고 있는 한 종의 집단 연구 (같은 종의 생물로 이루어진 집단) 예) 침팬지 집단 내 연구


4) 유기체(개체) 생태학

생태계의 다른 요인들에 대한 개체의 구조, 생리, 행동에 관한 연구 


보통 생태학은 생태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이해하고 있으나

정밀하게 구분하면 생태학 중에서도 생태계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은 

[생태계 생태학]입니다. 


개체, 개체군, 군집 연구는 생태계를 구성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에 가깝습니다. 


#


3. 생태계의 구분


크기에 따른 구분 : 연못생태계, 호수생태계, 대륙생태계, 지구생태계(생물권과 일치) 등

무기적 환경 특징에 따른 구분 : 해양생태계, 호소생태계, 극지생태계, 사막생태계 등

군락의 상관에 따른 구분 : 산림생태계, 초지생태계, 경지생태계, 도시생태계 등


위에서 언급한 생태계의 특징은 

특정 범위 내에서 생물학적, 물리적 환경의 총체로 본다는 것이고, 


생태계 생태학의 특징은 

생태계를 하나의 연구단위로 설정한다는 점입니다.


물론 특정 개체, 개체군, 군집에 한정하여 연구하는 것은 생태학에 속할 뿐 아니라

[생태계 생태학]과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군집 개체군 유기체 생태학이

생태계 생태학과 같다 볼 수 없습니다.   


#


4. '생태계'의 정의



2


생태계 생태학은 

연구단위를 생태계로 둡니다. 


유기체로서 A에게 환경이란,

물리적 환경 뿐 아니라 

유기체인 B를 생물학적 환경으로 포함합니다. 


따라서 A가 속한 생태계란 

A를 포함하여 

A와 관계, 상호작용하는 생물학적, 물리적 총체이며, 

이를 하나의 단위로 보는 개념입니다. 


다만 그 생태계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연못생태계, 호수생태계, 해양생태계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분하며 명명할 수 있습니다.   


#


5. 생태학의 '생태계'로부터 개념을 도출한 '사회사업 생태체계 관점'


사회사업은 생태학으로부터 생태체계 관점을 도출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는 생태학 전체에서 도출하였다기 보다는 

정밀하게 살피면,

생태학 중에서도 [생태계 생태학]에서, 

생태계 생태학의 [생태계]로부터 도출하였다 보는 것이 타당해 보입니다.  


사회사업에서 생태체계 관점을 

ecology perspective 라 하지 않고,

ecosystems perspective라 함을 고려한다면 그러합니다. 


개체 및 개체군 단위에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것은 

일반체계이론 General systems Theory의 상호연관성, 상호의존성, 경계, 개방성, 공생, 항상성, 엔트로피, 투입, 전환조작, 산출, 환류(피드백), 공유영역 등의 개념으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클라이언트 체계를 상황적 환경적으로 통합된 하나의 총체 속에서 이해하고 바라보려면  

생태계를 단위로하는 관점을 보완할 필요가 높아졌고, 

이로서 [생태계 생태학]의 생태계 개념으로부터 '생태체계 관점'을 도출하여 보완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굳이 정밀하게 말한다면

'생태학'적 관점이 아니라, 

'생태계 생태학'적 관점이고, 

'생태계' 관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


6. 생태체계와 사회사업 생태체계


생태학의 생태계든

사회사업적 생태체계든 둘다 Eco-systems 또는 Ecosystems입니다. 


다만, 자연과학에서는 system을 '계'로 번역하고, 

사회과학에서는 이를 '체계'로 번역하므로 

사회사업에서는 Eco-systems를 생태체계라 부릅니다. 


따라서 생태계든, 생태체계든 같은 단어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스템학, 체계학을 전공한느 분들과 이야기를 나누었을 때 

생태체계란 단어는 들어본 적이 없다는 반응이었습니다. 


생태체계로 검색해도 생태체계란 단어는

마치 사회사업 분야에서만 사용하는 사회사업 전문용어처럼 사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생태체계'를 사회사업 전문용어로 사용하되, 

생태체계 만으로 사용하면 여전히 생태계와 혼란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생태체계'로 사용하되, 이는 '사회사업 생태체계'의 줄임말로 조작합니다. 


#


7. 하나의 단위로서의 생태체계


생태학에서의 생태계란 기본적으로 총체를 하나의 단위로 하는 개념입니다. 

어떤 한 개체나 개체군을 기준으로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개념이 아닌, 

생태계를 단위로 설정하고 관계와 상호작용 전반을 살핍니다. 


이와 같은 생태학의 생태계 개념을 가져와서 

사회사업 생태체계 개념을 설정한다면, 


사회사업에서도 생태체계를 하나의 단위로 설정하고  

생태체계 자체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살필 필요가 있다 판단합니다. 


#


다음은 나남출판사에서 나온 [사회복지실천 기법과 지침] 394쪽에 나온 생태도 예시입니다.  

 



다음은 정보통신 분야에서 생태계를 파악하며 그린 생태도입니다. 



3



다음은 생태계 생태학에서 파악한 연못생태도입니다. 


4



위의 그림을 보면 

사회사업 생태도와 다른 생태도의 관점이 다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사회사업은 소위 클라이언트 체계를 둘러싼 '환경'을 파악하기 위한 환경지도에 가깝습니다. 

위의 그림으로서는 하나의 단위인 생태체계의 구조와 내용을 파악할 수 없습니다. 

다만 클라이언트 체계와의 연관성만 파악할 수 있을 뿐입니다.  

 

하지만 애플생태도와 연못 생태도는 다릅니다. 

특정 개체를 둘러싼 환경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애플과 연못이 속한 생태계 자체의 관계와 상호작용 즉 구조와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생태도입니다. 


이는 근본적으로 관점의 차이를 나타낸다 봅니다.

생태체계를 하나의 단위로 보느냐, 

아니면 생태체계를 단위가 아닌 클라이언트의 환경을 파악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느냐의 차이라 봅니다. 




제 판단으로는 사회사업 생태체계 또한 

생태체계를 하나의 단위로 보는 관점이 내재될 때 

비로소 생태계 생태학의 본질을 빌려왔다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할 때 비로소 생태체계의 변화까지도 담아내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가 생태체계를 하나의 단위로 구상한 흐름을 적어보았습니다. 

흐름이 중요한 글이라 생각하여 흐름 중심으로 거칠게 적어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도 비슷한 맥락으로 적어볼 생각입니다. 

(다만... 조금 쉬었다 갈 수도 있습니다. ^^:)  


  1. 이미지 출처) http://www.eoearth.org/article/Ecology [본문으로]
  2. 이미지 출처) 앎의나무 내 이미지를 수정하여 활용 [본문으로]
  3. 이미지 출처) http://pds15.egloos.com/pds/201001/07/44/a0100944_4b44a85ca0ad9.jpg [본문으로]
  4. 이미지 출처) http://www.fao.org/docrep/003/T0555E/T0555E02.htm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