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생성과 되먹임

2013. 5. 21. 08:00모음집/복지와 시스템

피드백이란 무엇일까요?  


일반적으로 다음 그림과 같이 

체계의 출력 일부분이 다시 입력으로 돌아가는 것을 말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체계는 목적한 출력을 이루기 위해 

체계를 재구조화합니다. 

 




반면 출력이 다시 입력단으로 돌아오지 않으면 

체계는 변화가 없습니다. 

체계는 완결되어 있으며 입력과 출력만 존재합니다. 




#


그렇다면 이제 구체적인 예를 통해 

피드백이 자기생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피겠습니다.  


과녁을 맞추어야 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가정합니다.

궁수는 과녁을 적중하기 위해 어떤 과정을 거칠까요?  





과녁을 맞추라는 외부 자극이 주어지면,

궁수는 자극을 감각기관으로 받아들입니다. 


이 정보를 기존 기억 구조에 입력하여 계획을 수립합니다. 

수립한 계획에 따라 화살을 쏩니다. 


이 결과를 다시 감각기관으로 받아들이되, 계획과 결과를 비교합니다. 

이 차이를 비교하여 인식을 새롭게 수정합니다. 

이 과정이 빨간 화살표의 Feedback 되먹임1입니다. 


체계 외부와의 피드백 과정을 통해 자기를 재구조화합니다. 

이것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피드백 과정입니다.  


#


그런데 또 하나의 되먹임이 있습니다. 

바로 파란 화살표의 Feedforward 되먹임입니다. 


피드포워드는  

실행하기 전에 결과를 예측하고,

이 예측치에 따라 인식을 재구조화하고 계획을 수정하는 과정을 뜻합니다. 


예를 들면

학습을 통한 수정, 가상 실행에 따른 수정 등이

피드포워드에 해당됩니다. 


그런데 이는 피드백과 달리 체계 외부와의 되먹임 과정이라기 보다는

체계 내부의 되먹임 과정을 통해 자기자신을 재구조화하는 것입니다. 


#


정리하자면, 

피드백이든, 피드포워드든 모든 되먹임 과정은 

체계를 재구조화하여 자기자신을 새롭게 생성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자기생성을 위해서는 되먹임 과정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기존의 체계를 살피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체계를 생성하는 과정은 

곧 '성찰'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흔히 성찰이 있어야 자신을 갱신할 수 있고,

성찰이 멈추면 화석화된다 이야기합니다. 

이는 매우 놀라운 통찰입니다. 


자기생성은 성찰에서 시작되고,

성찰이 있을 때 비로소 자기생성, 자기갱신이 이루어집니다. 


이는 모든 체계가 마찬가지입니다. 

당사자 체계도, 생태체계도, 사회복지체계도 마찬가지입니다. 

먼저 자신을 성찰할 때 갱신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결국 변화란 

스스로 그리고 타인의 눈으로 자신을 바라보는

성찰에서 출발합니다. 



234


  1. '되먹임'이란 일반적으로 Feedback의 우리말입니다. 그런데 되먹임이란 뜻이 Feedback 뿐 아니라 Feedforward까지 포괄할 수 있다 판단하여 둘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하였습니다. [본문으로]
  2. 참조) 앎의나무, 움베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갈무리 [본문으로]
  3. 참조) 시스템학, 박창근, 범양사출판부 [본문으로]
  4. 참조) 쉽게 읽는 루만, 마르고트 베르크하우스, 한울 [본문으로]